재무제표란?
먼저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나타내는 중요한 보고서입니다.
주로 아래 세가지 주요 재무제표로가 있습니다.
- 재무상태표 - 기업이 특정시점 보유한 자산, 부채, 자본을 나타냄 / 재정상태 파악
- 손익계산서 - 일정 기간 기업이 벌어들인 수익과 지출을 기록 / 경영성과 파악
- 현금흐름표 - 기업의 현금이 들어오고 나간 흐름을 나타냄 / 현금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파악
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?
상장한 기업의 경우 DART라고 불리는 전자공시 시스템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!
전자공시시스템
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.
dart.fss.or.kr
먼저 공시통합검색에 조회를 원하는 회사명을 입력해주고 검색을 클릭해주세요.

하단에 감사보고서를 클릭하고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~

어떻게 보면 되나요?
먼저 재무상태표는 기업이 특정 시점에서 가지고 있는 재산과 채무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입니다.
크게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나뉩니다~
- 자산
- 유동자산: 1년 이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 (예: 현금, 단기 투자 등)
- 비유동자산: 1년 이상 사용되거나 현금화되지 않는 자산 (예: 토지, 건물, 기계, 장기 투자 등)
- 부채
- 유동부채: 1년 이내에 상환해야 하는 부채
- 비유동부채: 1년 이상 상환 기한이 있는 부채
- 자본
이 안에서 다양한 항목들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자산과 부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다음으로 확인할 재무제표는 손익계산서인데요~
재무상태표가 특정시점 기준으로 가지고 있는 재산을 본다면 손익계산서는 일정 기간 동안 벌어들인 수익과 비용을 나타내는 표라고 보시면 됩니다.
여기서도 주요 항목을 확인해보자면 아래와 같이 나눌수 있는데요.
- 매출액 - 기업의 주력 상품을 팔아서 번 비용(치킨집 => 치킨 팔아서 번 돈)
- 매출원가 - 매출 - 매출원가(제품을 만들때 소요된 비용) (치킨 팔아서 번 돈 - 기름값, 매장 직원 인건비...)
- 영업비용 - 본업을 하는게 드는 간접 비용(임대료, 전단지 배포 인건비, 광고비 등)
- 영업이익 - 매출 총이익 - 영업비용
- 기타 수익/비용
- 당기순이익 - 세금과 기타비용까지 뺀 최종 순이익
여기서 헷갈릴수 있는 부분이 당기순이익만 확인하면 되는거 아닌가??일 것 같은데요~
만약 매출액은 많은데 영업이익이 적다면 기업이 현재 홍보를 하고 있다거나, 제품 개발 등 미래를 위한 투자가 많을 수 있다는 신호일 수 있어요.
이처럼 당기순이익만 보면 기업의 최종 이익은 알 수 있지만 영업이익이나 매출액을 같이 분석하면 경영 전략이나 미래 성장 가능성 같은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!

오늘은 재무제표 보는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재무제표는 기업의 경영 상태와 수익성을 파악하는 중요한 도구로, 재무상태표와 손인계산서는 기업의 수익 구조와 경영 효율성을 잘 보여줍니다.
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업의 경영 효율성과 미래 성장 가능성을 정확히 이해하고, 현명한 판단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!
'세무,회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회계원리] 회계의 의의 (0) | 2025.06.03 |
---|---|
세무, 회계, 재무 차이점 (0) | 2025.06.03 |
회계 기본 요소(자산,부채,자본,수익,비용) (0) | 2025.06.03 |
부가가치세 과세대상 (3) | 2025.06.03 |
감가상각비란?(특징 / 종류 / 계산 방법) (1) | 2025.06.03 |